유럽-아프리카연구소가 수행하고 있는 신흥지역연구사업에 관한 기고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성수
작성일 2016-05-22 18:10 댓글 0건
본문
무엇보다 국제무역 구조의 새로운 트렌드에 주목해야 한다.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의 '글로벌 트렌드 2025 전망'에 따르면 2025년까지 국제질서는 미국의 정치경제적 영향력 감소와 신흥국의 발흥으로 지금보다 훨씬 다극화될 전망이다. 선진지역 경제권은 3% 미만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신흥지역 성장률은 평균 6%를 웃돌고 있다.
유럽의 220개 기업이 2002년 총매출액의 18%, 영업이익의 15%를 신흥지역에서 실현했다면, 2011년에 이 수치는 각각 30%, 24%로 증가했다. 우리나라 역시 2007~2011년 제조업의 지역별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서유럽의 비중이 2.74% 감소하고, 북미 수출이 5.54%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에 대양주(20.92%), 아프리카(14.78%), 중동(14.60%), 아시아(13.63%), 중남미(11.93%) 등 신흥지역으로의 수출은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신흥시장이 각광을 받는 이유는 이 국가들이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안정을 달성하고, 산업 후발주자로서 적극적인 성장정책을 추진하기 때문이다. 정치경제적 안정은 '신소비계층'이라 불리는 중산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했고 이들을 선점하기 위한 국가 간, 기업 간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들 기업의 전략은 첫째, 브랜드 기업이 중저가제품 개발을 통해 시장을 공략해 들어가는 방법, 둘째로 기존의 중저가제품으로 승부를 하는 방법, 셋째는 압도적인 브랜드력으로 상위소득계층을 공략하는 방법, 넷째는 아직까지 잠재적 소비계층인 중하위소득 계층을 대상으로 사회공헌, 소비자 교육 등과 연계한 진출전략을 구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들은 모두 현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세계경제와 신흥지역 경제관련 지표, 정치현황 등에 대해 분석하고 있지만 신흥지역의 다양한 정치.경제.사회 주체들에 대한 접근과 분석 그리고 지속적이고 실효적인 네트워킹은 정확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우리 정부는 역시 한계점을 인식해 학계 차원의 연구와 접근을 강화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012년 신흥지역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지원을 위해 '신흥지역연구지원사업'을 새롭게 마련, 6개 대학 사업팀이 해당 지역에 대한 미시적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신흥지역연구지원사업'의 각 연구팀들은 정부와 기업들이 그 특성상 할 수 없거나 하기 힘든 부분에 대한 연구와 교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면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다만 우려하는 바는 이러한 연구와 교류가 단발적으로 끝남으로써 그동안의 성과가 무산되고 후속적인 연구.교류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현 시점에서 신흥지역에 대한 연구는 정부와 기업뿐만 아니라, 대학 차원의 실용적인 연구가 병행돼 시너지효과를 나타낼 때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유럽·아프리카연구소장
- 이전글[06/09 콜로키움] Prospects of African Industrialization 16.05.31
- 다음글[05/09 콜로키움] Nigerian Power-아프리카 비지니스 & 경험 공유 16.05.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