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INSTITUTE FOR EURO-AFRICAN STUDIES

연구소 소개

교육부 연구용역 과제

교육부 연구용역 과제

대학부설연구소를 활용한 해외지역연구 활성화 방안

연구과제 기본 정보

1. 연구사업 목표 및 정책적 의의

  • 국내 해외지역연구의 한계 확인. 해외지역연구의 확대 및 실용적 가치 창출을 위한 방안 탐색.
  • 국내 대학부설 지역연구 연구소 현황에서의 한계 요인 추출. 5개 변수(지원 체계·운영 기간·조직구성방식·연구 심화 수준·정책 호환성) 구성 및 해외 주요국의 대학부설 지역연구 연구소 현황과의 비교분석.
  • 국내 해외지역연구 활성화 방안 제시. 연구와 정책의 상호호환적 구조 형성과 한국형 외교 정책 개발 지원.

2. 연구과제 구성 및 독창성

  • 미·중 패권 경쟁 시기, 다양한 ‘소다자주의 전략’ 도출을 위한 국내 해외지역연구의 연구-정책의 상호호환적 체계 구축.
  • ‘한국적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글로벌노스와 글로벌사우스를 연결하는 매개 국가로서 한국의 외교적 위치 고려 및 해외 국가들과의 실질적 접점 확장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 실용적 해외지역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 생태환경 조성 및 대학부설 지역연구 연구소의 정책적 역할 강화 방안 제시.
  • 해외지역연구 관련 지역별로 특화된 주제를 보유한 대학부설 지역연구 연구소 간 소통 및 시너지 창출 방안 마련.
  • 해외지역별로 ‘한국형 정책’ 적용의 가능성 제고 및 지역 ‘간’ 공유할 수 있는 학술적 자원의 토대 제공.
  • 지역전문교육 및 실무전문가 육성. 후속세대 연구자 발굴 환경 조성.

3. 연구추진 체계

  1. 01

    지역 연구의 개념화

    문헌 조사를 통한
    연구의 개념 정립

  2. 02

    국내 대학부설 연구소
    현황 및 한계 분석

    국내 현황 및 한계 조사를 통한
    분석 변수 도출

  3. 03

    해외 대학 부설 연구소
    현황 조사

    분석 변수를 기반으로
    해외 연구 위원회 평가

  4. 04

    개선방안 도출

    비교 분석을 통한
    개선방향 도출

4. 기대효과

  1. 01
    상호호환적 체계 구축
    국내 해외지역연구의 가치외교-실용외교 양면적
    차원에서 연구-정책 간 상호호환적 체계 구축.
  2. 02
    글로벌 파트너 구축과 대외정책 마련
    ‘한국적 문제의식’에 입각한 해외지역연구 활성화 방안 추구.
    한국통일 정책에 유연적 대응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 구축과
    대외정책 마련.
  3. 03
    해외지역연구 심화
    해외지역연구 심화의 토대 마련.
  4. 04
    대학부설연구소 간 시너지 창출
    신남방-신북방 연계를 통한 대학부설연구소 간
    시너지 창출.